회화_001_081001_부산진순절도_001.jpg 첨부 이미지
회화_001_081001_부산진순절도_002.jpg 첨부 이미지
회화_001_081001_부산진순절도_006.jpg 첨부 이미지
회화_001_081001_부산진순절도_004.jpg 첨부 이미지
회화_001_081001_부산진순절도_005.jpg 첨부 이미지
회화_001_081001_부산진순절도_003.jpg 첨부 이미지
회화_001_081001_부산진순절도_008.jpg 첨부 이미지
회화_001_081001_부산진순절도_007.jpg 첨부 이미지
회화_001_081001_부산진순절도_009.jpg 첨부 이미지
회화_001_081001_부산진순절도_010.jpg 첨부 이미지
회화_001_081001_부산진순절도_016.jpg 첨부 이미지
회화_001_081001_부산진순절도_015.jpg 첨부 이미지
회화_001_081001_부산진순절도_014.jpg 첨부 이미지
회화_001_081001_부산진순절도_013.jpg 첨부 이미지
회화_001_081001_부산진순절도_012.jpg 첨부 이미지
회화_001_081001_부산진순절도_011.jpg 첨부 이미지
회화_001_081001_부산진순절도_017.jpg 첨부 이미지
회화_001_081001_부산진순절도_018.jpg 첨부 이미지
회화_001_081001_부산진순절도_019.jpg 첨부 이미지
회화_001_081001_부산진순절도_020.jpg 첨부 이미지
회화_001_081001_부산진순절도_022.jpg 첨부 이미지
회화_001_081001_부산진순절도_021.jpg 첨부 이미지
회화_001_081001_부산진순절도_023.jpg 첨부 이미지

부산진순절도

분류 회화
지정현황 국가지정문화재(보물)
연대 1760년
재질 비단에 채색
크기 96×145cm
유물번호 고대-가 81002
회화_001_081001_부산진순절도_001.jpg 첨부 이미지
회화_001_081001_부산진순절도_002.jpg 첨부 이미지
회화_001_081001_부산진순절도_006.jpg 첨부 이미지
회화_001_081001_부산진순절도_004.jpg 첨부 이미지
회화_001_081001_부산진순절도_005.jpg 첨부 이미지
회화_001_081001_부산진순절도_003.jpg 첨부 이미지
회화_001_081001_부산진순절도_008.jpg 첨부 이미지
회화_001_081001_부산진순절도_007.jpg 첨부 이미지
회화_001_081001_부산진순절도_009.jpg 첨부 이미지
회화_001_081001_부산진순절도_010.jpg 첨부 이미지
회화_001_081001_부산진순절도_016.jpg 첨부 이미지
회화_001_081001_부산진순절도_015.jpg 첨부 이미지
회화_001_081001_부산진순절도_014.jpg 첨부 이미지
회화_001_081001_부산진순절도_013.jpg 첨부 이미지
회화_001_081001_부산진순절도_012.jpg 첨부 이미지
회화_001_081001_부산진순절도_011.jpg 첨부 이미지
회화_001_081001_부산진순절도_017.jpg 첨부 이미지
회화_001_081001_부산진순절도_018.jpg 첨부 이미지
회화_001_081001_부산진순절도_019.jpg 첨부 이미지
회화_001_081001_부산진순절도_020.jpg 첨부 이미지
회화_001_081001_부산진순절도_022.jpg 첨부 이미지
회화_001_081001_부산진순절도_021.jpg 첨부 이미지
회화_001_081001_부산진순절도_023.jpg 첨부 이미지

1592년 음력 4월 14일 부산진에 쳐들어 온 일본군에 맞서 싸운 부산진첨절제사 정발(鄭撥, 1553~1592)과 휘하 병사들의 항전과 순절을 묘사한 역사기록화이다. 1709년에 처음 그려진 것을 동래무청(東萊武廳)의 화원 변박(卞璞)이 1760년에 다시 그린 것이다. 높은 곳에서 내려다보듯 묘사하는 부감법을 활용하였으며, 그림 오른쪽 중간에 부산진 성곽이 있고, 그 주변을 왜병 및 왜선이 빈틈없이 에워싼 모습은 조선군과 일본군의 심한 전력차를 느끼게 한다. 성문 위에는 수자기(帥字旗) 아래 검은 갑옷[黑衣]을 입은 정발 장군과 휘하 군사들이 몰려오는 일본군에 맞서 활을 쏘고 있고, 성내 전각에서 애첩 애향(愛香)이 장도 를 들고 자결하고 있다. 이러한 장면은 효종대에 동래부사(東萊府使)를 지낸 민정중(閔鼎重, 1628~1692)이 기록한 「임진유문( 壬辰遺聞)」과 이를 바탕으로 송시열(宋時烈, 1607~1689)이 저술한 「동래남문비(東萊南門碑)」의 내용을 바탕으로 그린 것이다. 이 작품은 「동래부순절도(東萊府殉節圖)」와 함께 임진왜란을 묘사한 가장 대표적인 회화 유물로서, 외세에 맞서 국가를 수호하는 민족정기와 군인정신을 일깨워준다. 동래 안락서원 기증(1963년).



다음글
이전글
동래부순절도