도검 창류_005_034023_은입사 사인검검신_001.jpg 첨부 이미지
도검 창류_005_034023_은입사 사인검검신_002.jpg 첨부 이미지
도검 창류_005_034023_은입사 사인검검신_003.jpg 첨부 이미지
도검 창류_005_034023_은입사 사인검검신_004.jpg 첨부 이미지
도검 창류_005_034023_은입사 사인검검신_005.jpg 첨부 이미지
도검 창류_005_034023_은입사 사인검검신_006.jpg 첨부 이미지
도검 창류_005_034023_은입사 사인검검신_007.jpg 첨부 이미지
도검 창류_005_034023_은입사 사인검검신_008.jpg 첨부 이미지
도검 창류_005_034023_은입사 사인검검신_009.jpg 첨부 이미지
도검 창류_005_034023_은입사 사인검검신_010.jpg 첨부 이미지
도검 창류_005_034023_은입사 사인검검신_011.jpg 첨부 이미지
도검 창류_005_034023_은입사 사인검검신_012.jpg 첨부 이미지
도검 창류_005_034023_은입사 사인검검신_013.jpg 첨부 이미지
도검 창류_005_034023_은입사 사인검검신_014.jpg 첨부 이미지
도검 창류_005_034023_은입사 사인검검신_015.jpg 첨부 이미지
도검 창류_005_034023_은입사 사인검검신_016.jpg 첨부 이미지

사인검

분류 도검
지정현황 비지정
연대 조선
재질
크기 57.4cm
유물번호 고대-가 34023
도검 창류_005_034023_은입사 사인검검신_001.jpg 첨부 이미지
도검 창류_005_034023_은입사 사인검검신_002.jpg 첨부 이미지
도검 창류_005_034023_은입사 사인검검신_003.jpg 첨부 이미지
도검 창류_005_034023_은입사 사인검검신_004.jpg 첨부 이미지
도검 창류_005_034023_은입사 사인검검신_005.jpg 첨부 이미지
도검 창류_005_034023_은입사 사인검검신_006.jpg 첨부 이미지
도검 창류_005_034023_은입사 사인검검신_007.jpg 첨부 이미지
도검 창류_005_034023_은입사 사인검검신_008.jpg 첨부 이미지
도검 창류_005_034023_은입사 사인검검신_009.jpg 첨부 이미지
도검 창류_005_034023_은입사 사인검검신_010.jpg 첨부 이미지
도검 창류_005_034023_은입사 사인검검신_011.jpg 첨부 이미지
도검 창류_005_034023_은입사 사인검검신_012.jpg 첨부 이미지
도검 창류_005_034023_은입사 사인검검신_013.jpg 첨부 이미지
도검 창류_005_034023_은입사 사인검검신_014.jpg 첨부 이미지
도검 창류_005_034023_은입사 사인검검신_015.jpg 첨부 이미지
도검 창류_005_034023_은입사 사인검검신_016.jpg 첨부 이미지

인검은 12지 중 호랑이를 뜻하는 '인'자가 들어가는 때에 제작한 의례용 칼로, 사인검은 인년, 인월, 인일, 인시가 모두 적용되는 시기에 맞추어 제작한 것이다. 호랑이는 양의 기운이 강하여 나쁜 기운을 물리칠 수 있는 힘을 지녔다고 여겨졌으며, 인검은 벽사(辟邪, 사악한 기운을 물리침)의 목적으로 만들어 왕실의 안녕 등을 기리는 주술적인 목적으로 만들어졌다. 이 사인검은 검날 한 면에는 전서체로 사인검의 검결(劍訣) 27자를, 다른 한면에는 북두칠성과 28수 천문도를 은으로 입사하여 장식하였으며, 검자루가 유실되고 검신만이 남아 있다.


다음 유물
황동화문환도
이전 유물
사인검